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포스트
취소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해당 포스트는 SQLD를 학습하며 정리한 내용에 대한 포스트입니다.


이론을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고 퀴즈, 기출문제 등을 기록하려고 합니다.


⚡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SQL 문장들의 종류

종류명령어설명
데이터 조작어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SELECT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검색하기 위한 명령어를 말하는 것으로 RETRIEVE 라고도 한다.
 INSERT
UPDATE
DELETE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들어 있는 데이터에 변형을 하는 종류의 명령어들
데이터를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집어넣거나
원하지 않는 데이터를 수정/삭제하는 것들의 명령어들을 DML이라고 한다.
데이터 정의어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CREATE
ALTER
DROP
RENAME
테이블과 같은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들
구조를 생성하거나 변경하거나 삭제하거나
이름을 바꾸는 데이터 구조와 관련된 명령어들을 DDL 이라고 부른다.
데이터 제어어
DCL
(Data Control Language)
GRANT
REVOKE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객체들을 사용하도록 권한을 주고
회수하는 명령어를 DCL이라고 한다.
트랜잭션 제어어
TCL
(Transaction Control Language)
COMMIT
ROLLBACK
논리적인 작업의 단위를 묶어서 DML에 의해 조작된 결과를
작업단위(트랜잭션) 별로 제어하는 명령어

INSERT, UPDATE, DELETE

명령어를 날리고 별도의 COMMIT 명령어를 실행시켜 주어야 데이터가 반영되며 ROLLBACK도 가능하다.

🚨 SQL Server의 경우는 DML도 AUTO COMMIT 된다.

💻 SELECT

SELECT

테이블에 입력된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서 SELECT문을 사용한다.

SELECT문은 특정 컬럼이나 특정 행만을 조회할 수 있다.

1
SELECT 컬럼1, 컬럼2, ... FROM 테이블 WHERE 컬럼1 = '이꼬비';
1
SELECT * FROM 테이블;

컬럼을 따로 명시하지 않고 * (Asterisk)를 쓰면 전체 컬럼이 조회되며 조회되는 컬럼의 순서는 테이블의 컬럼 순서와 동일하다.

별도의 WHERE절이 없으면 테이블의 전체 ROW가 조회된다.

SELECT문 image

  • 위의 SELECT문에서 EMP 테이블의 모든 컬럼(*)을 출력한다.

  • 단, WHERE절에 있는 조건문에 있는 행만 조회한다.


Alias

Alias(별칭)는 테이블명이나 컬럼명이 너무 길어서 간략하게 할 때 사용한다.

여러 개의 테이블을 JOIN하거나 서브쿼리가 있을 때 컬럼명 앞에 테이블명을 같이 명시해야하는 경우 테이블명은 비교적 길기 때문에 짧게 줄여쓰기 위해 사용

ALIAS를 별도로 지정해주지 않으면 컬럼명이 대문자로 출력된다.

Alias


SELECT 문법

SELECT문 문법설명
SELECT *- 모든 컬럼을 출력한다.
- *는 모든 컬럼을 의미한다.
FROM EMP- FROM절에는 테이블명을 쓴다.
- 즉, EMP 테이블을 지정했다.
WHERE 사원번호 = 1000- EMP 테이블에서 사원번호가 1000번인 행을 조회한다.
- 즉, 조건문을 지정한다.

SELECT 컬럼 지정

사용 예제설명
SELECT EMPNO, ENAME FROM EMP;EMP 테이블의 모든 행에서 EMPNO와 ENAME컬럼만 출력한다.
SELECT * FROM EMP;EMP 테이블의 모든 컬럼과 모든 행을 조회한다.
SELECT ENAME || ‘님’ FROM EMP;- EMP 테이블의 모든 행에서 ENAME 컬럼을 조회한다.
- 단, ENAME 컬럼 뒤에 ‘님’이라는 문자를 결합한다.
- 예를 들어 임베스트 님이라고 출력된다.


SELECT 쿼리문 순행순서

  1. FROM: 해당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가져온다.

  2. WHERE: 가져온 데이터 중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행을 필터링한다.

  3. GROUP BY: 필터링된 결과를 특정 컬럼의 값에 따라 그룹화한다.

  4. HAVING: 그룹화된 결과 중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그룹을 필터링한다.

  5. SELECT: 최종적으로 출력할 컬럼들을 선택하고, 집계 함수(Aggregate Function)들이 적용된다.

  6. ORDER BY: 선택된 결과를 특정 컬럼의 값에 따라 정렬한다.

SELECT 쿼리문 순행순서image


Distinct

Distinct문은 컬럼명 앞에 지정하여 중복된 데이터를 한 번만 조회하게 한다.

Distinct 미사용

  • 위의 예는 EMP 테이블의 DEPTNO 컬럼을 조회한 것이다.

  • 조회 내용을 보면 DEPTNO가 중복으로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istinct 사용

  • Distinct를 사용하면 DEPTNO 값이 중복되지 않는다.


ORDER BY 문

1
2
3
4
5
6
SELECT 컬럼명 [ALIAS]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식]
[GROUP BY 컬럼이나 표현식]
[HAVING 그룹조건식]
[ORDER BY 컬럼이나 표현식 [ASC 또는 DESC]]

SELECT문을 사용할 때 ORDER BY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 단, ORDER BY 구문은맨 마지막에 실행된다.

ORDER BY는 데이터를 ASC 오름차순(Ascending) 혹은 DESC 내림차순(Descending)으로 출력한다.

ORDER BY절을 따로 명시하지 않으면 데이터는 임의의 순서대로 출력된다.

ORDER BY 절에는 컬럼명을 명시해줄 수도 있고 SELECT 절에 기술된 컬럼 순서를 숫자로 명시해줄 수도 있다.

ASC (ASCENDING) : 오름차순

DESC (DESCENDING) : 내림차순

옵션 생략 시 ASC가 기본값이 된다.

ORDER BY가 정렬을 하는 시점은 모든 실행이 끝난 후에 데이터를 출력해 주기 바로 전이다.

ORDER BY 절은 논리적으로 SELECT 절 다음에 수행되기 때문에 SELECT 절에서 정의한 ALIAS를 사용할 수 있다.

ORDER BY 절의 옵션은 각 컬럼 다음에 하나씩 붙여서 작성

ORDER BY는 정렬을 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 즉, 대량의 데이터를 정렬하게 되면 정렬로 인한 성능 저하가 발생된다.

Oracle 데이터베이스는 정렬을 위해서 메모리 내부에 할당된 SORT_AREA_SIZE를 사용한다.

만약 SORT_AREA_SIZE가 너무 작으면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정렬을 회피하기 위해서 인덱스를 생성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오름차순 혹은 내림차순으로 생성해야 한다.

특별한 지정이 없으면 ORDER BY는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ORDER BY image

  • ENAME 부분은 ENAME ASC와 같다. 기본적으로 오름차순과 내림차순을 지정하지 않으면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싶을 때는 DESC를 사용한다.

ORDER BY에서 1, 2, 3, … 숫자가 나오면 추출할 컬럼명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오라클에서 정렬시 NULL값은 마지막에 정렬된다.

NULL값을 처음에 정렬되게 하려면 ORDER BY 컬럼 NULLS FIRST

NULLS LAST를 쓰면 NULL을 마지막에 정렬시킨다. 안쓴 경우와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


ORDER BY 절의 특징

  • 기본적인 정렬순서는 오름차순(ASC)이다.

  • 숫자형 데이터 타입은 오름차순으로 정렬했을 경우 가장 작은 값부터 출력된다.
    • 예를 들어 01-JAN-201201-SEP-2012보다 먼저 출력된다.
  • ORACLE에서는 NULL값을 가장 큰 값으로 간주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했을 경우 가장 마지막에, 내림차순으로 정렬했을 경우에는 가장 먼저 위치한다.

  • 반면 SQL Server에서는 NULL 값을 가장 작은 값으로 간주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했을 경우에는 가장 먼저, 내림차순으로 정렬했을 경우에는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다.

  • 만약 순서를 변경하고 싶다면 ORDER BY 절에 NULLS FIRST, NULLS LAST 옵션을 써서 NULL의 정렬산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 ORDER BY 절에 컬럼명 대신 ALIAS 명이나 컬럼 순서를 나타내는 정수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 GROUP BY 절을 사용하는 경우 ORDER BY 절에 집계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 TOP N 질의문에서 N에 해당하는 값이 동일한 경우 함께 출력되도록 하려면 WITH TIES 옵션을 ORDER BY절과 함께 사용해야 한다.


Index를 사용한 정렬 회피

정렬은 Oracle 데이터베이스에 부하를 주므로, 인덱스를 사용해서 ORDER BY를 회피할 수 있다.

정렬 테스트 데이터 입력

정렬 테스트 데이터 입력

  • 위와 같이 데이터를 입력하고 SELECT문을 실행하면 EMPNO로 오름차순 정렬되어서 조회된다.

  • 그 이유는 EMPNO가 기본키이기 때문에 자동으로 오름차순 인덱스가 생성된다

Index를 사용한 정렬 회피

  • 위의 예를 보면 /*+ INDEX_DESC(A)*/를 사용했다.

  • 즉, 힌트를 사용한 것이다.

  • 그래서 EMP 테이블에 생성된 인덱스를 내림차순으로 읽게 지정한 것이다.

  • 따라서 SELECT문에 ORDER BY EMPNO DESC를 사용하지 않았다.

Index를 사용한 정렬 회피

  • 위의 예처럼 SQL문을 사용하면 EMPNO 인덱스를 내림차순으로 읽는다.

  • 인덱스를 스캔한 후에 해당 EMPNO의 값을 가지고 테이블의 데이터를 읽는다.

  • 테이블에서 해당 행을 찾으면 인출하여 사용자 화면에 조회된다.


💻 INSERT

INSERT

1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명1, 컬럼명2, ...) VALUES (데이터1, 데이터2, ...); 

INSERT문은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DML문이다.

INSERT 문 image

EMP 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하려면 테이블명, 컬럼명, 데이터 순으로 입력하면 된다.

INSERT 문 image

데이터를 입력할 때 문자열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작은따옴표(’ ’)를 사용해야 한다.

만약 특정 테이블의 모든 컬럼에 대한 데이터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컬럼명을 생략할 수 있다.

모든 컬럼에 데이터를 입력한다.

INSERT 문 image

  • 위의 예처럼 컬럼명을 생략할 수 있다.

  • 단, 위의 예제에서 EMP 테이블의 컬럼은 숫자형 데이터 타입 한 개의 컬럼과 문자형 데이터 타입 한 개의 컬럼만 있어야 한다.

  • 주의 사항은 INSERT문을 실행했다고 데이터 파일에 저장되는 것은 아니다.

  •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려면 TCL문인 Commit을 실행해야 한다.

  • 만약 Auto Commit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Commit을 실행시키지 않아도 바로 저장된다.

AUTOCOMMIT을 주의해서 사용해야 하는 이유

  1. AUTOCOMMIT을 활성화 해놓은 후 DB 사용하면 실수를 하더라도 곧바로 즉시 반영이 된다.

  2. Commit이 된 트랜잭션은 Rollback이 불가능 하다.


SELECT

SELECT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회해서 해당 테이블에 바로 삽입할 수 있다.

단, 입력되는 테이블은 사전에 생성되어 있어야 한다.

SELECT문으로 데이터삽입 image


Nologging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입력하려면 로그파일에 그 정보를 기록한다.

Check point라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로그파일의 데이터를 데이터 파일에 저장한다.

Nologging 옵션은 로그파일의 기록을 최소화시켜서 입력 시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Nologging 옵션은 Buffer Cache라는 메모리 영역을 생략하고 기록한다.

Nologging 문 image


💻 UPDATE

1
UPDATE 테이블명 SET 컬럼명 = 새로운 데이터 (WHERE 수정할 데이터에 대한 조건);

입력된 데이터의 값을 수정하려면, UPDATE문을 사용한다.

UPDATE문을 사용하여 원하는 조건으로 데이터를 검색해서 해당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만약, UPDATE문에 조건문을 입력하지 않으면 모든 데이터가 수정되므로 유의해야 한다.

UPDATE 문 image

UPDATE문에서 주의사항은 데이터를 수정할 때 WHERE절에서 검색되는 행 수만큼 수정된다는 것이다.

  • 위의 예에서 EMPNO가 100번인 직원이 두 명이라면 두 명의 ENAME은 모두 ‘조조’로 수정된다.


💻 DELETE

1
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삭제할 데이터에 대한 조건)

DELETE문은 원하는 조건을 검색해서 해당되는 행을 삭제한다.

DELETE문에 조건문을 입력하지 않으면 모든 데이터가 삭제된다.

  • 즉, 테이블에 있는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이다.

DELETE문으로 데이터를 삭제한다고 해서 테이블의 용량이 초기화되지는 않는다.

DELETE 문image

  • 만약 위의 예에서 WHERE절(조건)을 입력하지 않으면 EMP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가 삭제된다.

테이블 용량이 초기화 되지 않는다는 의미

  • Oracle 데이터베이스는 저장공간을 할당할 때 Extent 단위로 할당한다

  • 테이블에 데이터가 입력되면 Extentoil 저장하게 된다

  • 만약 Extent의 크기가 MAX_EXTENTS를 넘어서게 되면 용량 초과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즉 최대로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 DELETE 문으로 데이터를 삭제하면 용량이 감소할 것으로 생각하는데 DELETE문은 삭제 여부만 표시하고 용량은 초기화되지 않는다.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 삭제 DELETE/TRUNCATE

  
DELETE FROM TABLE-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한다.
- 데이터가 삭제되어도 테이블의 용량은 감소하지 않는다.
TRUNCATE TABLE TABLE-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한다.
- 데이터가 삭제되면 테이블의 용량은 초기화 된다.


💻 MERGE

테이블에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이미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한 변경 작업을 한 번에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명령어

1
2
3
4
5
6
7
8
9
10
MERGE 
  INTO 타겟 테이블명
  USING 비교 테이블명
    ON 조건
  WHEN MATCHED THEN
    UPDATE
      SET 컬럼명 = 새로운 데이터 [, 컬럼명 = 새로운 데이터 ...]
  WHEN NOT MATCHED THEN 
    INSERT [(컬럼명1, 컬럼명2, ...)]
    VALUES (데이터1, 데이터2, ...)


💻 WHERE 문

INSERT를 제외한 DML문을 수행할 때 원하는 데이터만 골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문

WHERE 절은 FROM 절 다음에 위치하며, 조건식은 아래 내용으로 구성된다.

  • 컬럼(COLUMN)명 (보통 조건식의 좌측에 위치)
  • 비교 연산자
  • 문자, 숫자, 표현식 (보통 조건식의 우측에 위치)
  • 비교 칼럼명 (JOIN 사용 시)

WHERE문이 사용하는 연산

WHERE문이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는 비교 연산자, 부정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SQL 연산자, 부정 SQL 연산자가 있다.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설명
=같은 것을 조회
<작은 것을 조회
<=작거나 같은 것을 조회
>큰 것을 조회
>=크거나 같은 것을 조회

부정 비교 연산자

부정 비교 연산자설명
!=같지 않은 것을 조회한다.
^=같지 않은 것을 조회한다.
<>같지 않은 것을 조회한다.
NOT 컬럼명 =같지 않은 것을 조회한다.
NOT 컬럼명 >크지 않은 것을 조회한다.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는 SQL에 명시된 순서와는 관계없이 () => NOT => 비교연산자(>,>=,<,<=)와 SQL 비교연산자(BETWEEN, IN, LIKE, IS NULL)=> AND => OR

논리 연산자설명
AND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참이 된다.
OR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해도 참이 된다.
NOT참이면 거짓으로 바꾸고 거짓이면 참으로 바꾼다.

연산자 예

  • 위의 예는 EMP 테이블에서 EMPNO가 1001이고 SAL이 1000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조회한다.

SQL 연산자

SQL 연산자설명
LIKE ‘%비교 문자열%’- 비교 문자열을 조회한다. ‘%’는 모든 값을 의미한다.
BETWEEN A AND B- A와 B 사이의 값을 조회한다. (A,B 포함)
- 연속적인 데이터 많이 사용
IN (LIST)- OR를 의미하며 list 값 중에 하나만 일치해도 조회된다.
- 이산적데이터에 사용
IS NULL- NULL 값을 조회한다.
- IS NULL(컬럼, X)의 형태로 결과 값이 NULL일 경우 X를 반환한다.

부정 SQL 연산자

부정 SQL 연산자설명
NOT BETWEEN A AND B- A와 B 사이의 해당되지 않는 값을 조회한다. (A,B 미포함)
NOT IN (LIST)- LIST와 불일치한 것을 조회한다.
IS NOT NULL- NULL 값이 아닌 것을 조회한다.


LIKE 문

LIKE문은 와일드 카드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조회 할 수 있다.

와일드 카드

와일드 카드설명
%- 어떤 문자를 포함한 모든 것을 조회한다.
- 예를 들어 ‘조%’는 ‘조’로 시작하는 모든 문자를 조회한다.
_(underscore / underbar)- 한 개인 단일 문자를 의미한다.

ESCAPE

LIKE 구문하고 같이 사용하는데 %_와 같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_%' ESCAPE '\' 으로 설정을 하면 \뒤의 _을 포함하는 결과를 찾는다.

뒷 부분 와일드 카드

  • 뒷 부분 와일드 카드

앞 부분 와일드 카드

  • 앞 부분 와일드 카드

앞뒤 부분 와일드 카드

  • 앞뒤 부분 와일드 카드

와일드 카드 미사용

  • 와일드 카드 미사용

underscore

  • _(underscore) 사용 한문자 조회


BETWEEN 문

Between문은 지정된 범위에 있는 값을 조회한다.

Between 1000 and 2000은 1000과 2000을 포함하고 1000과 2000 사이의 값을 조회한다.

BETWEEN 문

  • 위의 예는 급여(SAL)가 1000 이상 2000 이하인 직원을 조회한다.

NOT BETWEEN 문

  • 위의 예는 급여(SAL)가 1000 미만 2000 초과인 값을 조회한다.


IN 문

N문은 “OR”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하나의 조건만 만족해도 조회I가 된다.

  • 예를 들어 JOB이 CLERK이거나 MANAGER인 것을 조회할 때 JOB IN (’CLERK’,'MANAGER')를 사용한다.

IN 문

IN 문

  • 괄호를 사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컬럼명에 대응되도록 입력함으로써, IN문으로 여러 개의 컬럼에 대한 조건을 지정할 수 있다.


NULL 값 조회

NULL의 특징

  • NULL은 모르는 값을 의미한다.

  • NULL은 값의 부재를 의미한다.

  • NULL과 숫자 혹은 날짜를 더하면 NULL이 된다.

  • NULL과 어떤 값을 비교할 때, ‘알 수 없음이 반환된다.

NULL 값 조회

  • NULL을 조회할 경우는 IS NULL을 사용하고 NULL 값이 아닌 것을 조회할 경우는 IS NOT NULL을 사용한다.

NULL 값 조회

NOT NULL 값 조회

NULL 관련 함수

  
NVL(인수1,인수2)- 인수1의 값이NULL이면 인수2를 반환
- NULL이 아닐 경우 인수1을 반환
- NVL(MGR, 0)은 MGR 컬럼이 NULL이면 0으로 바꾼다.
NVL2(컬럼,인수1,인수2)- 함수와 DECODE 함수를 하나로 만든 것
- NVL2(MGR, 1, 0)은 MGR컬럼이 NULL이 아니면 1을,
NULL이면 0을 반환한다.
NULLIF(인수1,인수2)- 인수1과 인수2의 값이 같으면 NULL
- 같지 않으면 인수1을 반환

- NULLIF(exp1, exp2)은 exp1과 exp2가 같으면 NULL을,
같지 않으면 exp1을 반환한다.
COALESCE(인수1,인수2,…)- NULL이 아닌 최초의 인수를 반환한다.
- COALESCE(exp1, exp2, exp3, …)
exp1이 NULL이 아니면 exp1의 값을,
그렇지 않으면 그 뒤의 값의 NULL 여부를 판단하여 값을 반환


🎯 추가 내용

❌ 순수 관계 연산자

SELECT,PROJECT, JOIN, DIVISION

👉 SELECT

  •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들 중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들의 부분집합을 구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든다.

  • 릴레이션의 행에 해당하는 튜플을 구하는 것으로, 수평 연산이라고도 한다.

  • SELECT 연산의 기호는 그리스 문자 시그마(σ)이다.

  • 표기 형식 : σ(조건)(R)

    • R은 릴레이션

    • 조건에서는 =, ≠, <, ≤, >, ≥ 등의 기호를 사용한 비교 연산이 허용, AND(∧), OR(∨), NOT(ㄱ) 등의 논리 연산자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조건들을 하나의 조건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 PROJECT

  • 주어진 릴레이션에서 속성 리스트에 제시된 속성 값만을 추출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든다. 단, 연산 결과에 중복이 발생하면 중복이 제거된다.

  • 릴레이션에서 열에 해당하는 속성을 추출하는 것으로, 수직 연산이라고도 한다.

  • PROJECT 연산의 기호는 그리스 문자 파이(π)이다.

  • 표기 형식 : π(속성 리스트)(R)

    • R은 릴레이션

👉JOIN

  • 공통 속성을 중심으로 2개의 릴레이션을 하나로 합쳐서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든다.

  • JOIN 연산의 결과로 만들어진 릴레이션의 차수는 조인된 두 릴레이션의 차수를 합한 것과 같다.

  • JOIN 연산의 결과는 CARTESIAN PRODUCT 연산을 수행한 다음 SELECT 연산을 수행한 것과 같다.

  • JOIN 연산의 기호는 ▷◁ 이다.

  • 표기 형식 : R▷◁(JOIN 조건)S

    • R, S는 릴레이션

    • =, ≠, <, ≤, >, ≥ 등의 비교 연산자를 비교 연산자를 θ로 일반화하여 θ로 표현될 수 있는 조인을 세타 조인(θ-join, Theta JOIN)이라고 한다.

    • JOIN 조건이 ‘=’일 때 동일한 속성이 2번 나타나게 되는데, 이 중 중복된 속성을 제거하여 같은 속성은 1번만 나타나게 하는 연산을 자연 조인(NATURAL JOIN)이라고 한다.

    • NATURAL JOIN에서는 WHERE절에서 JOIN조건을 걸 수가 없다.

    • 자연 조인과 반대로 중복된 속성을 나타내는 연산은 동일 조인(Equi JOIN)이다.

👉 DIVISION

  • 두 릴레이션 R(X)과 S(Y)에 대해 Y⊆X, X-Y=Z라고 하면, R(X)와 R(Z,Y)는 동일한 표현이다. 이때, 릴레이션 R(Z,Y)에 대한 S(Y)의 DIVISION 연산은 S(Y)의 모든 튜플에 연관되어 있는 R(Z)의 튜플을 선택하는 것이다.

  • 표기 형식 : R[속성r ÷ 속성s]S

    • 속성 r은 릴레이션 R의 속성, 속성 s는 릴레이션 S의 속성이며, 속성 r과 s는 동일 소성 값을 가지는 속성이어야 한다.


📚 레퍼런스

정미나. (유튜브 선생님에게 배우는) 유선배 SQL개발자(SQLD) 과외노트 / [정미나 저] (2023). Print.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 국가공인 SQL전문가·국가공인 SQL개발자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편] (2020). Print.

SQL 개발자 (SQLD) 자격증 따기 Part.2 / [유용한IT학습]

[Oracle] SQL SELECT 쿼리 실행 순서 처리 과정 / [마이자몽]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